78년간 이어진 ‘삼중의 외면’···한국 원폭 피해자 1·2세의 눈물
한국인 원폭 피해자 한정순씨(가운데)와 이기열씨(오른쪽)가 지난달 27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핵무기금지조약(TPNW) 제2차 당사국 회의의 부대행사에 참석해 증언하고 있다. ICAN(핵무기폐기국제운동) 제공
한국인 원폭 피해자 한정순씨(가운데)와 이기열씨(오른쪽)가 지난달 27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핵무기금지조약(TPNW) 제2차 당사국 회의의 부대행사에 참석해 증언하고 있다. ICAN(핵무기폐기국제운동) 제공
미국이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1945년 8월, 한정순씨(64)의 어머니는 임신 중 피폭을 당했다. 다음 해 낳은 아들은 1년이 채 지나기 전에 숨졌다. 이후 태어난 한씨와 남매들은 그렇게 한국인 원폭 피해자 2세대가 됐다. 고통은 대를 넘어 이어졌다. 한씨의 아들도 태어나자마자 뇌성마비 판정을 받았다. 한씨는 “원폭 피해 3세대인 아들은 평생 일어나보지 못하고, 신발 한 번 신어보지 못한 채 평생을 살아야 한다. 원폭 피해 1세대부터 3세대의 굴곡진 삶이 전쟁이 얼마나 잔인한지 보여주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씨를 비롯한 한국인 원폭 피해자 5명은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1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핵무기금지조약(TPNW) 제2차 당사국 회의에 참석해 원폭 피해 상황을 증언했다. 경향신문은 핵무기의 위험성을 강조한 원폭 피해자 1세대 이기열씨(78)와 2세대 한정순씨, 이태재씨(64)를 지난 2일 전화로 인터뷰했다.
세 사람은 누구도 한국인 원폭 피해자의 존재를 기억하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원폭 투하 당시 강제동원 피해자인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나 5개월 난 갓난아기였던 이기열씨는 “우리는 3중의 피해자다. 미국의 원폭 투하, 일본의 식민 지배, 한국의 무관심과 방치 속에서 78년을 보냈다”고 말했다. 한국원폭피해자협회에 따르면 1945년 원자폭탄에 피폭된 재일 한국인 수는 약 10만명으로, 이 중 5만명이 사망하고 약 4만3000명은 해방 이후 한국으로 돌아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씨는 “이번에 미국에 와서 보니 ‘한국에 원폭 피해자가 있는 줄 몰랐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았다”면서 “나조차도 가족들이 받을 시선이 걱정돼 대외적으로 원폭 피해자라고 말하기 시작한 지 10년 정도밖에 안 됐다”고 했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한국인 원폭 피해자 이기열씨가 핵무기금지조약(TPNW) 당사국회의 기간 열린 부대행사에 참석해 피폭 피해를 증언하고 있다. ICAN 제공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한국인 원폭 피해자 이기열씨가 핵무기금지조약(TPNW) 당사국회의 기간 열린 부대행사에 참석해 피폭 피해를 증언하고 있다. ICAN 제공
이들은 후손들을 위해 핵의 위험성을 기억하고 원자폭탄을 투하한 미국은 피해자들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했다. 한씨는 “총칼을 들고 싸우는 것만이 전쟁이 아니다. 원폭 피해자들은 후손이 태어나면 생을 마감할 때까지 아플 것을 두려워하며 보이지 않는 전쟁의 고통에 시달려야 한다”면서 “정부가 아픈 고통까지 대신 가져갈 순 없지만 사과와 책임, 배상은 인간된 도리로서 다해야 한다”고 했다. 이기열씨는 “죽기 전 제일로 원하는 것은 ‘원폭 투하는 잘못되었다. 미안하다’는 사과”라며 “피폭에 대한 원죄적 책임이 있는 미국이 사과하도록 국제 민중법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월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히로시마에서 원폭 피해 동포를 만났고 지난 9월 추석에는 원폭 피해 재일동포를 오찬에 초청했다. 그러나 원폭 피해자들은 한국 정부가 지난 78년간 외면한 피해자들을 위해 노력할 부분이 많다고 말한다. 1세대 피해자들은 그간 30여 번의 소송을 통해 일본 정부로부터 의료비 지원을 받고 있지만 2세대 이하 피해자들은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중략]
.[경향신문, 23.12.04 13:54 입력, 김송이 기자]
기사원문: https://m.khan.co.kr/article/202312041354001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